한국과 아세안은 1989년 대화 관계수립 이래, 긴밀하게 협력해 왔습니다. 한·아세안 관계는 1991년 완전대화상대국 관계로 격상된 이후,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면서 2004년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거쳐 2010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습니다.
한국은 연례적으로 한·아세안 정상회의와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고, 한·아세안 대화(Dialogue)를 운영함으로써, 아세안과 정기 협의채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한국과 아세안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한국과 아세안간의 교역은 약1,597.4억불(수출 1,001.1억불, 수입 596.3억불) 규모로서, 우리의 제2위 교역대상 지역입니다.
아세안은 10개국 모두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며, 한반도 이슈 관련 우리의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또한, 아세안은 우리의 제1위 방문지역으로 상호 교류는 2018년 기준 약 1,144만명으로 1,1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이어, 아세안 내 한류 및 한국어 학습이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2017년 아세안문화원이 개설되어 문화적 교류 또한 지속 확대중입니다.
이와 함께 아세안과의 개발경험 공유 및 개발원조사업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1987년부터 2017년까지의 아세안 10개국에 대한 ODA(개발원조) 규모는 무상원조와 유상원조 각각 18.23억불(‘17 누계), 26.05억불(’17 누계)입니다. 이와 별도로 한·아세안 인적교류 강화, 교역·투자증진, 기술이전 등 협력 증진을 위해 한·아세안 협력 기금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 교역 : 18년 기준 한·아세안 총 교역액은 1,597.4억불(수출 1001.1억불, 수입 596.3억불/제2의 교역 대상지역)
[출처: 한국 무역협회(K-stat),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단위: 천불)]
수출액 | 수입액 | 무역수지 | 총 교역액 | |
---|---|---|---|---|
2009 |
40,979,192 |
34,053,303 |
6,925,889 |
75,032,494 |
2010 |
53,195,307 |
44,098,915 |
9,096,393 |
97,294,224 |
2011 |
71,801,446 |
53,120,667 |
18,680,780 |
124,922,114 |
2012 |
79,145,169 |
51,977,288 |
27,167,880 |
131,122,457 |
2013 |
81,996,804 |
53,339,069 |
28,657,735 |
135,335,875 |
2014 |
84,577,327 |
53,417,787 |
31,159,539 |
137,995,113 |
2015 |
74,824,364 |
45,030,695 |
29,793,669 |
119,855,058 |
2016 |
74,517,823 |
44,319,133 |
30,198,690 |
118,836,954 |
2017 |
95,248,229 |
53,821,683 |
41,426,546 |
149,069,910 |
2018 |
100,113,823 |
59,627,953 |
40,485,870 |
159,741,776 |
◎ 투자 : 18년 기준, 한국은 아세안에 85.9억불 투자하였으며, 한국의 투자대상국 중 3위를 기록함(신고기준)
[출처: 한국 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단위: 억불)]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누계 | |
---|---|---|---|---|---|---|---|---|
대한 투자 |
건수 |
186 |
223 |
215 |
261 |
274 |
316 |
4,448 |
금액 |
6.2 |
17.9 |
28.5 |
24.6 |
35.6 |
15.4 |
313.0 |
|
대아세안 투자 |
건수 |
2,477 |
2,569 |
2,851 |
3,440 |
3,826 |
4,241 |
42,459 |
금액 |
45.8 |
49.6 |
64.0 |
62.1 |
61.9 |
85.9 |
935.1 |
|
신규법인수 |
690 |
781 |
868 |
1,010 |
1,076 |
1,230 |
14,092 |
※ 투자금액: 신고기준
◎ 인프라 수주 : 8년 기준, 아세안지역 인프라 수주는 119억달러(전체 수주액의 37.1%)을 기록하며, 중동 92억달러(29%)를 넘어 최대 수주처로 부상
[출처: 해외건설협회 해외건설종합정보 서비스, (단위: 천불)]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5,486,634 |
8,259,224 |
12,831,879 |
11,046,139 |
14,640,243 |
10,808,050 |
10,885,250 |
8,784,043 |
6,299,219 |
11,926,290 |
※ 주: 연도별 금액은 공사계약금액 기준
◎ 인적교류 : 양측간 교류인원은 2018년 기준 약 1,144만명(한국→아세안 : 약 898.1만명, 아세안→한국 : 246.2만명)
[출처: 한국관광공사 관광입국통계 및 국민해외관광객 주요 행선지별 통계, (단위:명)]
방한 아세안 국민 | 방아세안 한국인 | 계 | |
---|---|---|---|
2009 |
860,741 |
2,465,995 |
3,326,736 |
2010 |
1,127,821 |
3,298,640 |
4,426,461 |
2011 |
1,243,779 |
3,866,839 |
5,110,618 |
2012 |
1,398,544 |
4,453,939 |
5,852,483 |
2013 |
1,554,473 |
4,879,144 |
6,433,617 |
2014 |
1,790,568 |
4,954,781 |
6,745,349 |
2015 |
1,608,381 |
5,841,290 |
7,449,671 |
2016 |
2,216,036 |
6,432,862 |
8,648,898 |
2017 |
2,140,266 |
7,878,033 |
10,018,299 |
2018 |
2,462,080 |
8,981,113 |
11,443,193 |
※ 방아세안 한국인 통계는 아세안 개별국가 사정으로 통계 미발표 및 발표 시기 상이